허용응력도 설계법 허용응력도 설계법은 가장 오래된 설계법이며, 현재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설계법에서는 재료의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한다는 탄성거동에 기초한 설계법으로 안정성의 여유를 확보하기 위해 재료의 강도를 안전율로 나누어 허용응력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재료의 강도를 일정범위로 작게 본 경우에도 재룡에 발생되는 응력보다 크다면 충분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일반적인 경우 허용응력은 재료강도를 안전율로 나누어 산정하게 되지만 허용휨강도 및 허용압축강도의 경우 항복응력보다는 좌굴과 불안정성 등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즉, 허용압축응력도와 허용휨응력도 등은 세장비, 비지지 길이, 폭두께비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허용응력도 설계법을 공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Rn / S..
강재의 열처리 및 용접성 1. 강재의 열처리 1) 담금질(Quenching) 700~750℃ 정도의 온도로 강을 가열한 후 급랭하여 강의 조직을 변화시켜 강재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를 말합니다. 담금질에 의해 강의 강도와 경도는 증가하지만 연성은 감소합니다. 2) 뜨임(Tempering) 담금질에 의해 생긴 강재의 조직을 변화시켜 안정된 조직에 근접시키는 동시에 잔류응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적당한 온도(200~400℃)로 가열한 후 서서히 냉각시키는 열처리를 말합니다. 높은 강도는 그대로 유지하고 강재의 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시합니다. 2. 강재의 용접성 1) 개요 KS 규격품의 강재는 강재검사증명서(Mill Sheet)가 첨부되어 출하됩니다. 밀시트에는 화학성분 분석시험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