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김치연구소의 “HELLO KIMCHI”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김치백과전입니다. 지난번 김장의 문화와 김치의 웰빙 효능에 이어 오늘은 각 지역별 김치의 특색 및 종류 그리고 지역별 김치재료/향미의 특성을 소개할까 합니다. 김치 보감 지역별 김치의 특색 및 종류 무 배추 캐어 김장을 하오리라 / 앞 냇물에 정히 씻어 함담(鹹淡)을 받게 하소 고추 마늘 생강 파에 젓국지 장아찌라 / 독 곁에 중두리요 바탱이 항아리요 양지에 가가(假家) 짓고 짚에 싸 깊이 묻고.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0월령의 내용으로, 김장으로 분주한 여염집(일반 살림집)의 10월(양력 11월) 풍경을 노래하고 있는데요. 김장은 긴 겨울을 나기 위한 중요한 월동 준비였기에 늦가을의 가장 큰 행사였습니다. 지금도 친숙한 김치 배료인 무..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김장을 하게 되는데요. 김장철이 오면 늘 굴이 들어간 배추 속과 수육에 막걸리가 먼저 떠오르기도 합니다. 오늘은 유네스코에 등재된 우리나라 김장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김치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장은 늦가을이나 초겨울에 겨우내(한겨울 동안 계속해서) 먹을 많은 양의 김치를 담그는 것을 말하는데요. 각 지역마다 김장 재료나 방법에서 향토색이 짙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서해안의 풍부한 해산물이 많이 나오는 경기도는 새우젓, 조기젓, 황석어젓 등 담백한 젓갈을 쓰면서 생새우, 생태, 생갈치를 넣기도 하듯이 말입니다. 김치와 김장의 문화 1970년대까지만 해도 마을 김장 작업은 연중 큰 행사나 다름없었는데요. 지금은 핵가족화와 식단의 서구화, 외식의 보편화로 한 가정에서 ..